운동/부상

발목염좌 시 대처/치료/재활/테이핑/회복 방법(외측인대 부상)

남극에서돌아온펭귄 2012. 1. 2. 13:26
군대에서 처음으로 왼쪽 발목을 심하게 삐었다. 접질렀다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발목염좌(ankle sprain)는 발목의 인대들에 손상이 간 것을 말한다. 인대가 있는 관절은 발과 다리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데 이 곳에 이상이 생기게 되면 움직일 때 아프고 움직이는 데 제한을 받게 된다.

나 같은 경우는 축구하면서 수비한다고 뒤로 빠르게 뒷걸음질 치다가 왼발과 다리가 왼손이 안으로 꺽이듯이 끝까지 꺽여버렸다....혼자서...다쳤다.............


그 뒤로 약 4개월 간 축구를 못했다. 1개월 쯤 됬을 때 다 나은 줄 알고 뛰었는데 다시 심해져서 또 쉬어야 했다. 문제는 그 후였다. 이때 다친 이후로 왼쪽 발목을 더 자주 접지르기 시작했다.

관절의 회복은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재발율이 높다고 한다. 이번 겨울에도 어김없이 발목을 삐었다. 이제는 몇 번 다치다 보니 어떻게 해야되는지 알게 되었고 지금 다친지 1 달 됐는데 거의 완벽하게 나았다.


부상직후)RICE 치료
 
휴식(Rest), 냉찜질(Ice), 압박(Compression), 높이기(Elevation)의 영문 첫 글자를 모아 칭한 것으로 손상 직후 통증과 종창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이다. 즉 발목에 충분한 휴식을 주고, 얼음 등을 이용한 냉찜질을 한 번에 20~30분간, 하루 3~4회 시행하고, 붕대 등으로 적절히 압박하며, 다친 후 48시간 정도는 가능한 발목을 심장보다 높이 유지하도록 하여 붓기가 가라앉도록 하는 것이 좋다. 1도 염좌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이 방법의 치료로 충분한 경우가 많다. 
출처: 네이버 건강(http://health.naver.com/medical/disease/detail.nhn?diseaseSymptomCode=AA000550&diseaseSymptomTypeCode=AA&selectedTab=detail#con8)


회복기)냉찜질/온찜질

냉찜질은 기본적으로 부상 부위가 부었을 때 붓기와 염증을 가라앉기 위해서 하는 것이고, 온찜질은 그 후에 혈액순환을 활발히 하여 더 빨리 회복할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하는 것이다. 따라서 다친 후에 붓기가 빠지기 전까지는 온찜질 보다는 냉찜질을 하는 것이 좋다.


재활 운동)
회복이 거의 다 됐을 무렵 이제는 인대 주변의 근육을 사용함으로써 인대가 다시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회복 속도를 높일 수 있다.
아래 사이트에서 찾아볼 수 있는 각종 스트레칭과 운동을 통해서 할 수 있는데 굳이 세라밴드 같은 장비가 없어도 주변의 벽이나 의자 등의 사물을 이용하여 충분히 할 수 있다.

나는 주로 한 쪽을 띄워 반대 발에 무게를 실어준 상태로 위 아래로 움직이는 운동과 스트레칭을 했다.
( http://blog.naver.com/bosujjang?Redirect=Log&logNo=90127526898 )
( http://blog.naver.com/wshmc1208?Redirect=Log&logNo=130097344524 )


회복 후 예방) 테이핑
이 방법은 최근에 알게 되었는데, 보호대를 찾다 보니 운동하는 데 있어서는 보호대 보다 테이핑이 더 나을 것이라는 사람들의 추천에 찾아보게 되었다. 흔히 스포츠 경기를 보면 선수들 종아리나 팔에 형광색깔이나 살색의 테이프를 붙이고 나오는 데 그것이 바로 스포츠 테이핑이다.

테이핑은 반창고와 붕대의 성질을 둘 다 가지고 있어서 늘어나기도 하고 피부에 붙기도 한다. 얼핏 봐서는 별 도움이 될 것 같지 않지만 방법에 맞춰서 붙이게 되면 근육을 움직이는 데 제한을 받아 내가 실수로 인대나 근육에 과도한 힘을 줘도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해주게 되어있다.

물론 이 방법은 치료가 아니라 회복 직후 또는 평소에 다시 다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것이므로 아프다면 찜질과 재활운동을 꾸준히 하여 다 나은 후에 테이핑을 하는 것이 좋다.
발목 인대 테이핑사이트 (http://blog.naver.com/jhsh426?Redirect=Log&logNo=20128063400&jumpingVid=54E71495EBA5AA6FDB356C3F7B938D8A5679)